WSL(Windows Subsystem for Linux) 설치
Post

WSL(Windows Subsystem for Linux) 설치

Linux 용 Windows 하위 시스템

이제 정식으로 Windows 에서 Linux Subsystem 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. 2016년도 쯤 처음 접했을 때는 실제 운영 용이 아닌 개발자 용으로 등장했었다. 이제는 Windows 10 1709 부터 정식으로 지원하게 되었다. WSL은 Windows 10 Home Edition 에서도 지원하고 있으니 Hyper-V 를 Home Edition 에서 지원하지 않는다는 불편한 점과는 차이가 있다.

WSL을 사용하기 위한 절차는 Linux 용 Windows 하위 시스템 활성화와 Ubuntu 앱 설치 등 두 가지 이다.

WSL 활성화

winvar 명령을 실행하여 현재 윈도우의 버전을 확인한다.

img-01

다행히 귀찮지 않게 이미 1709로 업데이트 되어 있다. 1709보다 낮다면 업데이트를 해 주어야 한다.

Windows 기능에서 WSL을 활성화 해 주어야 한다. optionalfeatures 명령을 실행하여 Windows 기능을 실행하고 Linux 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을 켠다.

img-02

설치가 완료되면 재부팅을 해야 한다.

Ubuntu 설치

Microsoft Store에서 Ubuntu 앱을 찾아서 설치한다.

img-03

설치가 완료되면 ubuntu 명령으로 WSL을 실행할 수 있다.

img-04

WSL을 처음 실행한 경우 계정명과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화면이 보이게 된다. 계정 생성 없이 창을 닫게 되면 root 가 기본 유저가 된다. 보안에 확신이 있다면 편의상 root 를 기본 유저로 하는 것을 추천한다.

df 명령어로 디스크 상태를 확인해 보았다. Windows 에 C:\ 와 D:\ 두 개의 디스크가 있는데, WSL 에서는 /mnt/c/mnt/d에 마운트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.

img-05

dd 명령을 이용하여 디스크의 속도를 측정해 보았다.

img-06

속도 손실 없이 디스크가 지원하는 최대치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.